대전오타모반치료? 이런게 핵심!
- Facial genius Funny
- 7월 5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11월 3일
대전오타모반치료? 이런게 핵심!

오타모반 치료? 완치 가능한가요?
"눈 밑에 파란 멍처럼 보이는 거요, 기미는 아닌 것 같고…
이거 없어질 수 있나요?"
피부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질문을 종종 듣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기미나
멍 자국처럼 보여도,
의외로 '오타모반'이라는 다른 피부 상태일 수 있어요.
오타모반은 단순한 색소침착이 아닙니다.

치료 방법도, 접근도 전혀 달라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오타모반은 치료로 없어질 수 있나요?"라는 질문에 대해
조금 더 현실적인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 오타모반이란?
오타모반은 주로 눈가,
관자놀이, 이마, 광대 주변에
푸르스름하거나 회갈색으로
퍼져 있는 색소 질환입니다.
기미처럼 넓게 퍼진 느낌이 들기도 하고,
파란 멍이 든 것처럼 보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기미나 잡티와는 발생
위치부터 다릅니다.
기미, 잡티: 피부의 얕은 층
(표피나 표피-진피 경계)에 생김
오타모반: 진피 깊은 층,
즉 레이저도 쉽게 닿지 않는 곳에 색소가 존재


그렇기 때문에 육안으로
비슷해 보여도,
사용하는 치료 장비나
방향은 전혀 달라지게 됩니다.
✔ 오타모반은 왜 생기나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선천적으로 멜라닌 색소 세포가
진피 안쪽에 존재하는 경우
출생 직후나 사춘기 이후에
서서히 색이 드러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유전적인 요인도 일부 작용하며,
성인 여성에게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됩니다.


특히 한쪽 얼굴만 푸르스름하게
색이 나타나는 경우
오타모반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 일반 레이저로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기미토닝으로 받으면 되나요?"
"IPL로 몇 번 하면 괜찮아지겠죠?"
안타깝지만, 오타모반은
기미나 잡티 치료용 레이저로는
거의 개선되지 않아요.
왜냐면 그 레이저들은 대부분
얕은 층에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오타모반처럼 깊숙한 색소까지 도달하려면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선택해야 합니다.
주로 아래와 같은 장비가 사용돼요:
피코슈어레이저 (755nm)
: 깊은 색소에 반응하는 피코레이저
장비. 오타모반에 효과적.
인라이튼 피코, 엔디야그 레이저 (Q스위치 1064nm)
: 깊은 파장으로 진피 색소를 타겟으로 함
단순히 레이저 이름보다 파장 깊이가 중요합니다.
실제로 장비가 좋아도,
진단이 정확하지 않으면
잡티나 기미처럼 접근하게 되어
효과가 없을 수 있어요.
✔ 완치 가능할까요?
사실 많은 분들이 '완치'라는 단어에 민감해요.
"몇 번 치료하면 완전히 없어지나요?"라고 물어보시지만,
정확히 말하면 '완전 제거'보다는
'눈에 안 띄게 흐려지는 것'이
현실적인 목표입니다.

사람에 따라 5~10회 이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피부 톤이 어두울수록, 색소가 깊을수록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요
치료를 하더라도 한동안 색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분들이
“남이 봤을 땐 티 안 나요”
“화장하면 가려질 정도로 흐려졌어요”
라고 말할 만큼 만족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 그럼 치료는 어떻게 진행하나요?
피부 진단 및 깊이 확인
: 오타모반인지, 다른 색소인지 정확히 감별
3~4주 간격으로 치료 반복
: 피부 재생을 고려한 주기 조절
자외선 차단 및 재색소침착 방지 관리
: 치료 후 철저한 자외선 차단이 중요
※ 같은 오타모반이라도
피부 두께, 색소 깊이, 피부톤 등에 따라
적절한 출력과 레이저 종류가 달라질 수 있어요.

무조건 ‘루비가 좋다’, ‘피코가
최신이다’로 결정할 수 없습니다.
✔ 결론: '없어질 수는 있습니다', 단 조건은 있습니다
오타모반은 단기간에 완전히 사라지는 잡티가 아닙니다.
하지만 진단이 정확하고,
올바른 장비로 꾸준히 치료받는다면
남이 봤을 때 거의 티 안 나게 흐려지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중요한 건 ‘기미처럼 가볍게
생각하고 IPL이나 토닝만 반복’하는
그런 접근은 효과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에요.
혹시 본인의 눈가나 이마 주변에
푸르스름한 색소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면,
한 번쯤은 '기미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오타모반은 따로 진단받아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png)















































댓글